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I 강소국 대두: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 신흥 강자들 부상

by 탐험대장단군 2025. 2. 22.

 

최근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이 주도하는 가운데, 이스라엘, 캐나다, 네덜란드, 아랍에미리트(UAE) 등 소위 'AI 강소국'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는 제한된 인구와 자원을 극복하고, 독특한 인재 양성 시스템과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1948년 건국 이후 군사 및 경제적 자립을 위해 이공계 인재를 집중적으로 육성해 왔습니다. 이러한 인재들은 효율적인 창업 생태계와 결합하여 우수한 AI 스타트업을 다수 배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유대계 금융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AI 스타트업의 성공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히브리대의 암논 샤슈아 교수는 자율주행 기술 기업 모빌아이를 설립하여 인텔에 매각하는 등 성공적인 창업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캐나다AI 기초 연구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정부는 연구개발(R&D) 예산을 통해 영국, 프랑스 등지의 세계적 석학들을 영입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AI 분야에서 첫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네덜란드기술 이민을 적극 장려하는 정책을 통해 AI 반도체의 미세공정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반도체 장비 기업인 ASML은 이러한 정책의 성공을 대표하는 사례로, 전 세계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를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아랍에미리트(UAE)**는 글로벌 테크 기업들을 대거 유치하여 중동 지역의 AI 허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두바이 인터넷 시티와 아부다비의 허브71 등 IT 산업 단지를 조성하여 글로벌 기업들의 연구개발 센터를 유치하고, 데이터센터를 확보하는 등 AI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들 AI 강소국들의 공통점은 국가 차원의 명확한 AI 전략 수립과 이를 뒷받침하는 전폭적인 지원입니다. 또한, 우수한 인재 양성 및 유치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통해 AI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 AI 분야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나, 관련 입법 지연과 주 52시간 근로제 등의 제약으로 인해 발전 속도가 더디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도 이러한 국가들의 전략을 참고하여 AI 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아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