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급여 얼마나 인상될까? 2025년 달라지는 점 정리!
2025년 1월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인상되었습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육아휴직을 계획하면서 궁금해하는 급여 인상 폭과 변경된 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
특히,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인상, 사후지급 폐지, 부모 동시 육아휴직(6+6) 제도 강화, 한부모 근로자 지원 확대 등이 주요 변화입니다.
지금부터 2025년 육아휴직 제도 개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인상 및 주요 개편 사항
✅ 육아휴직 급여 인상 & 사후지급 폐지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 인상
- 기존: 월 150만 원 (25%는 복귀 6개월 후 지급)
- 개편:
- 1~3개월: 월 250만 원
- 4~6개월: 월 200만 원
- 7개월 이후: 월 160만 원
- 총 지급액 증가: 1,800만 원 → 2,310만 원 (+510만 원)
사후지급 폐지
기존에는 급여의 25%를 복귀 후 6개월 뒤 지급했지만, 이제는 육아휴직 기간 동안 전액 지급됩니다. 이는 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긍정적인 변화입니다.
✅ 부모 동시 육아휴직(6+6 부모육아휴직제) 지원 확대
생후 18개월 내 부모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첫 6개월 동안 급여 상한액이 상향됩니다.
- 기존: 첫 달 최대 200만 원
- 개편: 첫 달 최대 250만 원
이를 통해 맞벌이 부부가 함께 육아를 분담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 한부모 근로자 육아휴직 급여 인상
한부모 가정을 위한 육아휴직 급여도 인상되었습니다.
- 1~3개월: 기존 250만 원 → 300만 원
- 4~6개월: 기존 150만 원 → 200만 원
- 7개월 이후: 기존 150만 원 → 160만 원
한부모 가정이 경제적 어려움 없이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
✅ 육아휴직 통합 신청 및 서면 허용
- 출산휴가 또는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시 육아휴직을 함께 신청 가능
- 사업주는 근로자의 육아휴직 신청 후 14일 내 서면 허용 의무화
- 응답이 없을 경우, 근로자가 신청한 대로 육아휴직 사용 가능
이는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육아휴직 신청을 더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변화입니다.
✅ 중소기업 지원 확대
중소기업 근로자의 육아휴직 사용을 장려하기 위한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
- 대체인력 지원금 인상: 기존 월 80만 원 → 120만 원
- 업무분담 지원금 확대: 기존에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시 월 최대 20만 원 지급, 이제는 육아휴직 사용 시에도 지원 가능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육아휴직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입니다.
2024년 12월 대법원 판결로 달라진 '통상임금' 기준
2025년부터 육아휴직 급여는 통상임금의 80%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그런데 2024년 12월 대법원 판결로 인해 통상임금의 기준이 변경되었습니다.
기존에는 고정적으로 매월 지급되는 급여만 포함되었지만, 이제 상여금도 포함될 수 있음이 명확해졌습니다.
✅ 통상임금 계산 방법
📌 기본급 + 고정 수당 + 정기상여금(불분명한 지급이 아닌,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 포함)
예시:
- 기본급: 2,500,000원
- 고정 수당: 200,000원
- 식대: 100,000원
- 교통비: 50,000원
- 정기상여금: 250,000원
총 통상임금 = 3,100,000원
통상임금이 증가하면, 육아휴직 급여도 함께 증가할 수 있으므로 회사의 급여 체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인상, 꼭 알아야 할 점
- 사후지급 폐지로 인해 육아휴직 급여를 매월 받을 수 있음
- 통상임금 기준 변경으로 인해 육아휴직 급여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 부모 동시 육아휴직(6+6제) 지원 확대로 맞벌이 부부의 혜택 증가
- 한부모 근로자 급여 인상으로 한부모 가정의 육아 부담 완화
- 중소기업 지원 강화로 중소기업 근로자의 육아휴직 사용 증가 기대
육아휴직을 계획 중이라면, 변경된 제도를 꼼꼼히 확인하고 자신의 근로 환경에 맞는 지원을 받으세요! 😊